HOME > 도서안내 > 학술원우수학술도서
 
도서명남도 민속과 축제
저자표인주
분류[학술원우수학술도서]
발행일2005-10-30 판형신국판
ISBN89­-7598­-529-­6 (93380)
페이지450 정가16,000원
네티즌평가 |
(총 0 명 참여)   도서정보 인쇄하기 1,228

<2006년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본 서는 제1부에서는 가택신앙과 마을신앙의 전승론적인 검토를 했다. 가택신앙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안방, 가정, 마을의 공간학적 검토를 토대로 가택신들의 공간문화적인 질서체계와 가택신앙의 지속과 변화를 살펴보고자 했다.
  제2부에서는 한국전쟁과 사회의 변화에 따른 민속문화적인 대응양상을 검토했다. 한국전쟁으로 인해 많은 죽음이 발생했다. 그러한 죽음의례 실상과 설화에 나타난 죽음관을 토대로 남도지역 사람들의 죽음의식을 살펴보고자 했다.
  제3부에서는 장화왕후전설과 도선국사전설의 효용적 가치를 살펴보고, 임방울 명창의 생애사적인 검토를 하고자 했다.
  제4부에서는 민속놀이의 지속과 변화 그리고 축제화 과정을 확인해 보고, 축제의 사상적 토대로서 설화를 검토하고자 했다.
  본 서가 민속학을 연구하는 모든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

도서소개 인쇄하기
머 리 말 ― 5
제 1 부 가택신앙과 마을신앙
1. 가택신앙 신격(神格)의 질서체계와 변동 양상 18
Ⅰ. 머리말 18
Ⅱ. 안방, 가정, 마을의 공간학적 검토 19
Ⅲ. 가택신앙의 종교적 의미와 주체 24
Ⅳ. 가택신의 공간문화적인 질서체계 26
Ⅴ. 가택신앙의 지속과 변화 34
Ⅵ. 맺음말 42
2. 지역 종교현상의 변동 양상과 신앙적
전설의 형성과 의미 45
Ⅰ. 머리말 : 읍동의 마을사적 개관 45
Ⅱ. 읍동마을 종교현상의 변동 양상 47
Ⅲ. 상라산성 전설의 형성과 의미 57
Ⅳ. 맺음말 66
3. 고흥 사포(四浦)유적의 종교문화적인
실태와 가치 69
Ⅰ. 머리말 69
Ⅱ. 녹도진성지 쌍충사 제향의 형성과 변화 70
Ⅲ. 발포진성지의 충무사 제향과 마을신앙의
변동양상 78
Ⅳ. 여도진성지 마을신앙의 단절과 잔영 88
Ⅴ. 사도진성지의 마을신앙의 실태 91
Ⅵ. 사포유적의 지역문화적인 가치 95
Ⅶ. 맺음말 97
4. 전남 마을신앙의 불교 수용양상과 변화 99
Ⅰ. 머리말 99
Ⅱ. 마을신앙의 불교적 신체(神體)와
신격(神格)의 수용 101
Ⅲ. 마을신앙의 사제자로서 승려 110
Ⅳ. 마을신앙의 불교 수용 계기 117
Ⅴ. 맺음말 120
5. 마을신앙 연구의 검토와 지평 확대 122
Ⅰ. 머리말 122
Ⅱ. 마을신앙의 종교적 체계 124
Ⅲ. 마을신앙의 적응과 변화 132
Ⅳ. 마을신앙의 축제 및 공연문화 140
Ⅴ. 마을신앙 연구의 과제와 방향 145
제 2 부 죽음과 민속의례
1. 한국전쟁 희생자들의 죽음 처리방식과
의미화 과정에 관한 고찰 150
Ⅰ. 머리말 150
Ⅱ. 전통사회에서 죽음 처리방식과 의미 152
Ⅲ. 공적기억의 죽음 처리방식과 국가적 숭배 160
Ⅳ. 비공적기억의 죽음 처리방식과 역사적 재현 166
Ⅴ. 원혼을 위무하는 의례의 구조와 의미 172
Ⅵ. 맺음말 176
2. 양민학살사건에 따른 공동체문화의
파괴와 민속문화적 대응양상 182
Ⅰ. 머리말 182
Ⅱ. 함평군 월야면 양민학살 184
Ⅲ. 공동체문화의 파괴와 약화 187
Ⅳ. 가계계승의 단절과 복원 193
Ⅴ. 해원(解寃)을 위한 의례적 장치 구축 198
Ⅵ. 음양합일을 통한 사후세계 천도 201
Ⅶ. 맺음말 208
3. 영암군 구림리 학암과 모정마을의 죽음의례와
의례조직의 지속과 변화 210
Ⅰ. 머리말 210
Ⅱ. 죽음의례의 실상과 의미 212
Ⅲ. 의례조직의 통합과 단절 221
Ⅳ. 죽음의례와 의례조직의 지속과 변화 요인 229
Ⅴ. 맺음말 236
4. 전남지역 상장례(喪葬禮)와 구비문학에
나타난 죽음관 238
Ⅰ. 머리말 238
Ⅱ. 죽음관의 개념 239
Ⅲ. 상장례에 투영된 죽음관 244
Ⅳ. 사후세계의 음양 합일적 지향 253
Ⅴ. 상여소리에 나타난 공간 인식 257
Ⅵ. 당신화에 반영된 타계관 263
Ⅶ. 맺음말 275
제 3 부 전설과 판소리
1. 장화왕후 전설의 문화적인 의미와
효용적 가치 280
Ⅰ. 머리말 280
Ⅱ. 장화왕후 전설의 내용과 전승적 토대 281
Ⅲ. 장화왕후 전설의 문화적인 의미 288
Ⅳ. 장화왕후 전설의 효용적 가치 298
Ⅴ. 맺음말 304
2. 도선국사전설의 불교문화사적인 가치와
현대적 활용 306
Ⅰ. 머리말 306
Ⅱ. 도선국사전설의 텍스트 검토 308
Ⅲ. 도선국사전설에 나타난 도선국사의 위상 317
Ⅳ. 도선국사전설의 불교문화사적인 가치 322
Ⅴ. 도선국사전설의 현대적 활용 325
Ⅵ. 맺음말 329
3. 명창 임방울의 출생에서 전국명창대회 입상 332
Ⅰ. 머리말 332
Ⅱ. 임방울의 성장과 가족관계 333
Ⅲ. 임방울의 후원자와 선생 338
Ⅳ. 임방울의 좌절과 소리연습 347
Ⅴ. 임방울의 혼인과 전국명창대회 입상 352
Ⅵ. 맺음말 357
제 4 부 민속놀이와 축제
1. 영암군 구림리 화전놀이와 줄다리기의
전승양상과 의미 360
Ⅰ. 머리말 360
Ⅱ. 화전놀이의 의미와 변화 362
Ⅲ. 대보름 줄다리기의 구성과 전승 373
Ⅳ. 맺음말 381
2. 전남 당전설의 신화적인 의미와 지역축제
구축의 토대 383
Ⅰ. 머리말 383
Ⅱ. 당전설의 신화적인 의미 384
Ⅲ. 당전설과 마을신앙의 관계 392
Ⅳ. 당전설의 지역축제 이념적 토대 399
Ⅴ. 맺음말 403
3. 고싸움놀이의 변이양상과 축제화 과정 405
Ⅰ. 머리말 405
Ⅱ. 고싸움놀이 무형문화재의 지정 배경 407
Ⅲ. 고싸움놀이의 구성과 의미 409
Ⅳ. 고싸움놀이의 변이 양상 415
Ⅴ. 고싸움놀이의 원형성을 토대로 한 전통축제 421
Ⅵ. 고싸움놀이의 재창조로서 도시축제화 426
Ⅶ. 고싸움놀이축제에 대한 지역민의 의식 429
Ⅷ. 맺음말 431

참 고 문 헌 433
찾 아 보 기 443